Technology/블록체인 (5) 썸네일형 리스트형 메타마스크 Transaction (트랜잭션)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transaction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ransaction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메타마스크에서 어떻게 transaction을 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ransaction 단계 Transaction은 한번 채굴되지만 네트워크 내 모든 참가자들에게 실행된다. Don't trust, verify 1. 사용자가 transaction을 private key로 사인한다 2. 노드에서 사용자가 transaction 요청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방송한다 3. 방송을 들은 노드는 해당 transaction을 로컬 mempool (요청을 들었지만 아직 블록체인 블록에 더해지지 않은 요청들의 리스트)에 저장한다 4. 채굴 노드에서 여.. Transaction 이란 (이더리움) Transaction이란 이더리움에서 transaction이란 EVM에 state을 바꾸기 위한 코드 실행을 말합니다. 가장 쉬운 예시로는 A가 B에게 3 ether를 보내는 것이 있겠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것 역시 transaction의 예시입니다. Transaction fee/gas 하지만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된 모델만으로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Transaction을 validate 하기 위해서는 다른 참가자들의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참가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주지 않으면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힘들어집니다. 2. 모든 transaction을 처리하는 데는 순서가 있습니다. 만약 악의가 있는 참가자가 네트워크를 마비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request를 보내게 .. 이더리움 지갑 사용법 (메타마스크 - MetaMask)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지갑이란 블록체인 위에 있는 어카운트의 public key/private key 쌍을 언급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하기 가장 간단한 지갑 중에 하나인 메타마스크를 이용해서 어카운트와 지갑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마스크(Metamask)란? 메타마스크는 이더리움 지갑을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크롬 익스텐션입니다. 간단하게 설치 및 가입을 할 수 있고 사용하기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메타마스크 설치 방법? 크롬 웹 스토어에 가셔서 메타마스크를 설치하면 바로 사용 가능하십니다. 가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리뷰 수와 설치 수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메타마스크 설치 링크: .. 암호화폐 지갑 (wallet) 이란? Wallet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암호학의 public key와 private key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다 좋다. Public key는 네트워크 내에서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고유의 키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른 사용자들이 볼 수 있지만, 나와 같은 public key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없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Private key는 나만이 알고 있는 고유 식별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Wallet은 무엇일까? 의외로 정의는 매우 간단하다. 계정과 연동된 public key/private key 쌍이다. 쉽게 말하면 public key와 private key 만 있으면 지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예시로는: public key와 private key를 저장하는 크롬 익스텐션 (Me.. 이더리움 (Ethereum) 이 무엇일까? 이더리움이란? 암호화폐 중에 비트코인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시장 가치를 자랑하는 이더리움. 많은 사람들이 이더리움은 다양한 애플리캐이션에 사용 가능하다고 말하는데 도대체 이더리움이란 무엇일까? 먼저 이더리움을 이해하기 위해서 암호화폐에 관련된 개념을 지우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쉽게 말하면 이더리움은 커다란 컴퓨터이다. 이더리움 생태계 안에는 EVM (Ethereum Virtual Machine)이라는 커다란 컴퓨터가 존재한다. EVM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안에 모든 사용자들이 동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모든 참가자 (이더리움 노드)들은 EVM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안에 있는 참가자들 중 누구나 요청을 보낼 수 있고 네트워크 안에 다른 참가자들이 해당 요청을 verify, .. 이전 1 다음